전차 (고대 무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차는 라틴어 carrus에서 유래된 단어로, 고대 전쟁에서 사용된 바퀴 달린 차량을 의미한다. 바퀴의 발명은 기원전 4천년 중반에 북캅카스와 중앙 유럽에서 거의 동시에 나타났으며, 가장 오래된 전차는 신타슈타 문화 매장지에서 발견되었다. 전차는 기원전 18세기에서 17세기에 근동 지역에 도입되었고, 히타이트, 이집트, 가나안, 이스라엘, 그리스, 로마, 중국, 인도 등 다양한 문명에서 전쟁과 스포츠, 의식 등에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드로노보 문화 - 바퀴살
바퀴살은 바퀴의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하중을 지탱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고대 전차부터 현대 운송 수단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며, 재료와 구조에 따라 솔리드 스포크와 와이어 스포크로 나뉜다.
전차 (고대 무기) | |
---|---|
개요 | |
![]() | |
유형 | 수레 |
용도 | 전쟁, 경주, 의식 |
견인 | 말 |
상세 정보 | |
어원 | (고대 프랑스어 , "수레"에서 유래) |
역사 | 기원전 3천년기 ~ 기원후 1세기 |
주요 사용 문화 | 고대 근동,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고대 중국 |
특징 | 빠르고 기동성이 뛰어나며, 주로 전투 및 경주에 사용됨. 활, 창, 칼 등으로 무장한 병사들이 탑승. |
구조 | |
차체 | 나무 또는 청동으로 제작된 가벼운 구조 |
바퀴 | 일반적으로 2개 또는 4개 |
동력 | 말 1~4마리 |
승무원 | 1~3명 (마부, 전사) |
활용 | |
군사적 용도 | 전투 정찰 추격 기습 |
스포츠 | 전차 경주 |
의례적 용도 | 종교 의식, 장례식 |
기타 정보 | |
관련 유물 | 테르라코타 군대 |
관련 인물 | 벤허 |
2. 어원
"전차"라는 단어는 라틴어 ''carru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골어 ''karros''에서 차용된 단어이다.[2] 고대 로마에서는 두 마리의 말을 필요로 하는 전차를 ''비가'', 세 마리의 말은 ''트리가'', 네 마리의 말은 ''quadriga''라고 불렀다.
3. 역사
'''이륜전차'''(Chariot영어 채리엇)는 고대에 사용된 전투용 마차로, 사륜전차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이다. 수메르, 히타이트, 고대 이집트, 로마, 페르시아 제국, 고대 중국, 고대 인도 등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사용되었다. 고대 전쟁의 주력으로서 전차의 수를 가지고 전력을 평가하던 시대도 있었다.
구약 성서의 열왕기나 사기 등에는 대규모 전차전이 기록되어 있다. 대체로 전투원은 귀족이었고, 마부는 그 부하나 노예였다. 전차는 화살에 대한 저항력과 보병에 대한 돌파력이 뛰어났고, 돌격 시 적 보병에게 위압감을 주었다. 전투원이 활이나 창칼로 직접 적을 공격하는 것 외에도 바퀴축에 날을 부착하여 적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는 등 다양하고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형적 제약이 크고 기동성이 떨어지며 유지 비용이 비싸 기병에 밀려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전차는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수메르, 히타이트, 아시리아, 고대 이집트, 로마, 페르시아, 고대 중국, 고대 인도 등에서 사용되었다. 근동의 것은 2륜에 말 2~4마리를 매달았고, 이집트에서는 탑승자 2명, 히타이트·이스라엘·아시리아·중국 등에서는 3명이었다. 대부분 서스펜션이 없어 가죽이나 버드나무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엮은 바닥으로 진동을 흡수했다. 이집트에서는 차축은 느릅나무, 본체 부분은 타마리스크가 사용되었다.[49] 특히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4두 마차 2륜 전차를 콰드리가(Quadriga)라고 부른다.
고대 전쟁의 주력이었으며, 옛날에는 전차의 수로 전력을 삼았던 시대도 있었다. 지형의 제약을 받기 쉽고, 또한 전력 유지를 위해 필요한 비용이 매우 많이 들기 때문에, 안장이나 등자 등의 마구 개발, 유목민의 기병에 의한 기마 전술 개발 및 정주 문화권 전파, 품종 개량에 의한 말의 대형화와 그에 따른 중기병 등장 등의 영향을 받아 기병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어느 지역에서나 전차를 타고 싸운 병사의 대부분은 귀족이나 그 자제 등으로, 마부(조종사)는 그 부하나 노예가 주를 이루었다.
마부는 전력이 되지 않으므로, 사격전에 대응하는 활병이나 백병전에 대응하는 창 등의 폴암 등으로 무장한 자를 탑승시킬 필요가 있었다. 바퀴 자체에 동력이 없기 때문에, 선회는 각 말의 조련에 숙련된 마부의 고삐 다루기에 달려있었다. 지금으로 말하면 드리프트 주행과 같이 바퀴를 미끄러뜨려 선회할 필요가 있었으며, 전차는 이러한 횡 방향 하중에 구조상 매우 취약했다. 기동성, 전력 구성으로 보아도 기병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하지만 말이 소형이고 등도 약해서 기승에 적합하지 않아 기병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에는 전차의 기동성은 대체 불가능했다. 고속으로 이동하면서도 활로 사격을 할 수 있다는 점과, 가속을 붙인 폴암에 의한 파괴력은 경이적이었다. 기병이 전장에 활발하게 등장한 이후에도 말 위에서 다루기에는 너무 큰 장궁이나 노포로 사격하거나, 전차의 전면이나 측면에 창이나 검, 낫을 부착하여 적 중장보병 대열에 돌격하여 대열을 분단, 혼란시키는 운용도 이루어졌다.
서방 세계에서는 중장보병 시대를 거쳐 언제 기병으로 대체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고대 그리스에서도 말기가 되자 이미 과거에 전차를 실전에 사용한 것을 잊어버리게 되어, 서사시나 이야기 작품에서는 영웅을 전장으로 운반하는 탈것으로 묘사되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전차를 사용한 기록이 없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기에 기원전 1세기 브리튼 섬에서의 전차의 특이한 용법을 기록하고 있다. 다만 전장 이외의 용도로, 고대 로마에서는 전차 경주가 행해졌고, 수도 로마를 비롯한 제국 각지에 경마장이 만들어졌다.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12세기까지 전차 경주가 행해졌다. 현재 행해지고 있는 경마는 이 전차 경주의 스타일을 계승한 것이다.
3. 1. 기원과 초기 발전
바퀴는 여러 장소에서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기 증거는 우크라이나, 폴란드, 독일, 슬로베니아에서 발견되었다.[3][4] 기원전 4천년 중반에 북캅카스 (마이코프 문화)와 중앙 유럽에서 거의 동시에 바퀴 달린 차량의 증거가 나타난다. 이러한 초기 차량은 황소가 끄는 황소차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차 발명의 필수적인 선행 조건은 말의 가축화인데, 이는 문명 발전의 중요한 단계이다. 말의 가축화가 운송 및 통신에 큰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원을 추적하는 것은 어려웠다. 증거에 따르면 말은 유라시아 스텝에서 가축화되었으며,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문화가 기원전 3500년경에 처음으로 가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들은 말의 가축화가 기원전 3500년보다 더 이른 시기인 동유럽(현대 우크라이나와 서카자흐스탄 주)에서 6000년 전에 이루어졌다고 말한다.[5]
가장 초기에 완전하게 개발된 바퀴살이 있는 말 전차는 현대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신타슈타-페트로프카 원시 인도이란인 문화의 안드로노보 문화 (목재 무덤) 유적에서 기원전 2000년경의 전차 매장에서 발견된다.[6] 이 문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전 얌나 문화에서 파생되었다. 이들은 매우 요새화된 정착지를 건설하고, 산업 규모의 청동기 금속 공예를 수행했으며, ''리그베다''와 ''아베스타''에서 알려진 힌두교 의식과 유사한 복잡한 매장 의식을 치렀다. 다음 몇 세기 동안 안드로노보 문화는 우랄 산맥에서 텐샨 산맥까지 스텝 지역으로 퍼져나갔으며, 이는 초기 인도이란인 문화의 시기와 일치할 가능성이 높다.
모든 사람이 신타슈타 문화 차량 발굴이 진정한 전차라고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1996년 조스트 크라우웰(Joost Crouwel)과 메리 아이켄 리타우어는 신타슈타와 크리보에 오제로 차량에 대해 알려진 것은 바퀴 자국 뿐이며, 차량 재구성은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고 썼다. 피터 라울빙(Peter Raulwing)과 슈테판 부르마이스터(Stefan Burmeister)는 스텝에서 발견된 신타슈타와 크리보에 오제로의 발굴을 전차가 아닌 수레로 간주한다.
3. 2. 인도-유럽인의 확산과 전차
바퀴살이 있는 전차의 확산은 초기 인도-이란인의 이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신타슈타 문화는 전차 기술의 기원으로 유력하게 여겨지며, 이 문화는 구세계 전역으로 퍼져 고대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도-이란인들은 남아시아로 이주하여 기원전 1750년경 베다 시대를 열었으며, 이 직후인 기원전 1700년경 소아시아에서 전차의 증거가 나타난다. 전차는 인도-이란 신화와 초기 유럽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힌두교 신화와 페르시아 신화에서 대부분의 신들이 전차를 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11]
3. 3. 고대 근동의 전차
전차는 기원전 18세기에서 17세기에 근동 지역에 도입되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가장 초기 전차는 기원전 2500년경 우르의 스탠다드에서 묘사된 사륜전차로, 당나귀나 당나귀와 말의 교배종이 끌었다. 수메르인들은 더 가볍고 두 바퀴 달린 전차를 사용했으며, 바퀴살 바퀴는 기원전 2천년기 중반까지 메소포타미아에 나타나지 않았다.[26]
초기 전차는 사륜전차로 수메르인들이 개발하였다. 기원전 3500년경 바퀴가 개발되고 기원전 2500년경 전투용으로 등장하였다. 사륜전차는 방향전환이 어렵고 무거웠으며, 지형적 제약과 내구성 문제가 있었다. 기동성 또한 떨어져 심리적 효과 외에는 큰 기대를 하기 어려웠다. 결국 기원전 2300년경 바퀴살이 달린 이륜전차로 대체되었다.
'''이륜전차'''(Chariot영어 채리엇)는 고대에 사용된 전투용 마차로, 사륜전차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이다. 수메르, 히타이트, 고대 이집트, 로마, 페르시아 제국, 고대 중국, 고대 인도 등에서 사용되었다. 고대 전쟁에서 전차는 주력으로 사용되었으며, 전차의 수로 전력을 평가하던 시대도 있었다.
구약 성서의 열왕기나, 사기 등에 대규모 전차전이 기록되어 있다. 대체로 전투원은 귀족이었고, 마부는 그 부하나 노예였다. 전차는 화살에 대한 저항력과 보병에 대한 돌파력이 뛰어났고, 돌격 시 적 보병들에게 위압감을 주었다. 전투원이 활이나 창칼로 직접 적을 공격하는 것 외에도 바퀴축에 날을 부착하여 적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는 등 다양하면서도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형적인 제약이 크며, 기동성이 떨어지고 유지 비용이 비쌌기 때문에 기병에 밀려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전차(戰車)는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수메르, 히타이트, 아시리아, 고대 이집트, 로마, 페르시아, 고대 중국, 고대 인도 등에서 사용되었다. 근동의 것은 2륜에 말 2~4마리를 매달았고, 이집트에서는 탑승자 2명, 히타이트·이스라엘·아시리아·중국 등에서는 3명이었다. 대부분 서스펜션이 없어 가죽이나 버드나무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엮은 바닥으로 진동을 흡수했다. 이집트에서는 차축은 느릅나무, 본체 부분은 타마리스크가 사용되었다.[49]
특히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4두 마차 2륜 전차를 콰드리가(Quadriga)라고 부른다.
3. 3. 1. 히타이트
고대 근동에서 전차를 사용한 전쟁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8세기에 작성된 히타이트의 아니타 문서에 나오는 40쌍의 말 팀이다.[49] 히타이트는 전차를 잘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바퀴가 가벼운 새로운 형태의 전차를 개발하여 세 명의 전사를 태울 수 있었다.[49] 히타이트가 번성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역로와 천연자원(특히 금속)을 통제했기 때문이며,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면서 주변 국가들과 갈등이 커졌다. 기원전 1274년에 벌어진 카데시 전투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차 전투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49] 아부 심벨 신전 벽화에는 카데시 전투에서 전차를 탄 람세스 2세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3. 3. 2. 고대 이집트
기원전 16세기경 힉소스가 이집트를 침략하면서 전차가 도입되었다.[8] 이집트인들은 전차를 이동식 궁술 플랫폼으로 활용했는데, 전차에는 보통 두 명이 탑승하여 운전자는 고삐로 전차를 조종하고 주요 궁수는 활과 화살로 목표물을 공격했다. 투탕카멘 무덤에서 발견된 네 개의 전차가 이집트 전차의 가장 잘 보존된 예시이다.[27]
3. 3. 3. 고대 가나안과 이스라엘
메르카바he로 불리는 전차는 타나크(תנ״ך)와 그리스어 구약성경에 자주 언급되며, 전쟁의 도구 또는 권력이나 영광의 상징으로 묘사된다.[49] 사무엘기상 13:5는 블레셋 사람들의 전차를 언급하는데, 이들은 때때로 해양 민족 또는 초기 그리스인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3. 4. 고대 그리스
기원전 1천년기의 후기 고대 그리스인들은 기병 부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리스 본토의 바위가 많은 지형은 바퀴 달린 차량에 적합하지 않았다.[34] 전차는 미케네 그리스인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아마도 기원전 1600년경 히타이트인들로부터 전래되었을 것이다. 선형 B 점토판에는 전차의 대량 재고가 기록되어 있으며, 전차가 얼마나 조립되었는지, 또는 조립되지 않았는지(예: 모듈 형태로 보관)에 대한 세부 사항도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1500년경으로 추정되는 미케네의 왕족 샤프트 묘 V에서 발견된 묘비에는 아카이아 예술에서 전차의 가장 초기 묘사 중 하나가 있다. 이 조각은 두 바퀴가 달린 작은 상자 모양의 전차를 모는 한 남자를 보여준다. 나중에 이 차량들은 고대 올림픽과 파나테나이아 축제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게임과 행진, 특히 경주에 사용되었으며, ''히포드롬''과 ''아곤''이라는 경기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파라님프''나 신랑의 친구가 신부를 집으로 데려오기 위해 전차를 타고 가는 것과 같은 의식에도 사용되었다.
헤로도토스(''역사'', 5. 9)는 전차가 흑해–카스피해 스텝 지역에서 시긴네족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고 보고한다.
그리스 전차는 중앙 폴에 부착된 두 마리의 말에 의해 끌리도록 제작되었다. 두 마리의 말이 더 추가된 경우, 메인 한 쌍의 양쪽에 전차의 앞부분 또는 ''선수''에 고정된 단일 막대 또는 ''끌개''로 부착되었다. 이는 영국 박물관에 있는 아테네의 파나테나이아 축제에서 가져온 두 개의 상을 받은 화병에서 볼 수 있는데, 거기에서 마부는 말 다리 가까이 아래로 매달린 판에 발을 얹은 채 앉아 있었다. 비가(biga) 자체는 차축 위에 놓인 좌석으로 구성되며, 각 측면에는 바퀴로부터 마부를 보호하는 레일이 있다. 그리스 전차는 말을 위한 다른 부착물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회전을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전차의 몸체 또는 ''바구니''는 두 바퀴를 연결하는 차축(''빔''이라고도 함) 위에 직접 놓여 있었다. 서스펜션이 없어 불편한 이동 수단이었다. 바구니의 앞면과 측면에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약 1m 높이의 반원형 가드가 있었다. 뒤쪽의 바구니는 열려 있어서 타고 내리기가 쉬웠다. 좌석은 없었고, 일반적으로 마부와 승객 한 명만 탈 수 있었다.
고삐는 대부분 19세기에 사용된 것과 동일했으며, 가죽으로 만들어졌고 상아 또는 금속 스터드로 장식되었다. 고삐는 말목걸이 밴드 또는 멍에에 부착된 고리를 통과했으며, 방어를 위해 전차병의 허리에 묶일 수 있을 정도로 길었다.
전차의 바퀴와 바구니는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부분적으로 청동 또는 철로 강화되었다. 바퀴에는 4개에서 8개의 살이 있었고, 청동 또는 철 타이어가 있었다. 살이 넓게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전차 바퀴의 가장자리는 비교적 넓은 간격에 걸쳐 장력을 받았다. 이는 약간의 충격 흡수를 제공했지만, 계속되는 무게 지탱으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차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바퀴를 제거해야 했다.[35] 이 시대의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은 그리스와 비슷한 디자인의 전차를 가지고 있었으며, 주요 차이점은 부착 방식이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전차는 에릭토니오스가 용의 다리에서 자신의 발을 숨기기 위해 발명했다.[36]
그리스 신화에서 전차의 가장 두드러진 등장은 헬리오스의 아들 파에톤이 태양의 전차를 몰려고 시도하다가 지구에 불을 지르는 데 성공했을 때 발생한다. 이 이야기는 ''파에톤''이라는 단어가 전차나 마차를 모는 사람, 특히 무모하거나 위험한 속도로 모는 사람을 의미하는 고어적 의미로 이어졌다. 플라톤은 그의 ''전차의 비유''에서 두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를 묘사했는데, 하나는 얌전하고 다른 하나는 말썽을 피우는 말로, 인간 본성의 상반된 충동을 나타냈다. 이성의 역할을 하는 전차병의 임무는 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것을 막고 깨달음을 향해 인도하는 것이었다.
그리스어로 전차를 뜻하는 ἅρμα, ''hárma''는 오늘날에도 전차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정확히는 άρμα μάχης, ''árma mákhēs'', 즉 "전투 전차"로 불린다.
3. 5. 유럽
전차는 인도-이란 신화와 초기 유럽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힌두교 신화와 페르시아 신화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며, 이들 판테온(신들의 집합)에 있는 대부분의 신들은 전차를 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전차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는 ''rátha-'' (남성 명사)이며, 이는 아베스타어 ''raθa-'' (역시 남성)와 같은 어원을 가진다. 스키타이인과 같은 흑해 스텝의 유목 부족들은 마차, 수레, 전차를 타고 이동했다.[11]
3. 5. 1. 중앙 및 북유럽
동유럽에서 바퀴 달린 차량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묘사는 기원전 3500년경 브로노치체 항아리에 나타난다.[11] 이는 폴란드 시비엥토크시스키에 주의 깔때기형 토기 문화 정착지에서 발굴된 점토 항아리이다.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되고 확실하게 연대가 측정된 실제 바퀴-차축 조합은 류블랴나 늪 바퀴(기원전 3150년경)이다.
트룬드홀름 태양 전차는 기원전 1500-1300년경 북유럽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태양 원반을 끄는 말은 네 개의 바퀴로, 태양 자체는 두 개의 바퀴로 움직인다. 모든 바퀴에는 네 개의 살이 있다. "전차"는 태양 원반, 차축, 바퀴로 구성되며, 태양이 전차로 묘사된 것인지, 아니면 승객으로 묘사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이른 시기에 북유럽에 두 개의 살이 있는 바퀴가 달린 말이 끄는 차량의 모형이 존재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11]
트룬드홀름 전차 외에도, 북유럽 청동기 시대의 전차를 묘사한 수많은 암각화가 있다. 기원전 1000년경 킹스 무덤의 석판에 그려진 암각화 중 하나는 네 개의 살이 있는 바퀴가 두 개 달린 이륜 전차를 묘사하고 있다.[11]
복합 궁을 사용한 전차 전투는 북유럽에서 증명되지 않았다.
3. 5. 2. 서유럽
켈트족은 전차로 유명했으며, "자동차(car)", "마차(carriage)", "운반하다(carry)"와 같은 현대 영어 단어는 궁극적으로 브리튼어(현대 웨일스어: ''Cerbyd'')에서 파생되었다.[11] "전차(chariot)"라는 단어 자체는 노르만 프랑스어 "charriote"에서 파생되었으며 켈트어 어원(골어: ''karros'')을 공유한다. 약 20개의 철기 시대 전차 매장이 영국에서 발굴되었으며, 대략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전 100년 사이에 해당한다. 거의 모든 전차가 이스트요크셔에서 발견되었으며, 예외는 에든버러에서 서쪽으로 10km 떨어진 뉴브리지에서 2001년에 발견된 것이다.
켈트족 전차는 골어에서는 ''karbantos''라고 불렸을 수 있으며(라틴어 ''carpentum''과 비교),[37][38] 폭이 약 2m, 길이가 4m인 ''비가''였다.
영국 전차는 앞이 트여 있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영국 전차 전술에 대한 유일하게 중요한 목격자 보고서를 제공한다.
전차는 영웅 쿠 훌린을 둘러싼 아일랜드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차는 의식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연대기'' 14.35), 이케니족의 여왕 부디카는 점령 로마군에 대항하여 강력한 봉기를 일으켰으며, 61년에 전차에서 자신의 군대를 향해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전차의 마지막 언급은 서기 84년 현대 스코틀랜드 어딘가에 있는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서 전투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타키투스에서(''아그리콜라'' 1.35–36) "그 사이 평원은 전차와 기병대의 소리와 빠른 움직임으로 울려 퍼졌다." 전차는 로마 보조군과의 첫 교전에서도 승리하지 못했다. "그동안 적의 기병대가 도망쳤고, 전차병들은 보병의 교전에 합류했다."
3. 5. 3. 에트루리아
유일하게 온전한 상태로 보존된 에트루리아 전차는 기원전 530년경 몬텔레오네 디 스폴레토에서 발견된 전차 매장의 일부이다. 현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40] 세밀한 저부조 장면으로 장식된 청동판으로 장식되어 있고, 아킬레우스의 일생의 에피소드를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41]
3. 6. 고대 로마
로마 제국에서 전차는 전쟁에 사용되지 않고, 주로 전차 경주나 개선 행렬에 사용되었다. 개선 행렬에서는 최대 10마리의 말이나 개, 호랑이 또는 타조가 전차를 끌기도 했다. 전차 경주 기수들은 의상의 색깔로 구분되는 적색, 청색, 녹색, 백색의 4개 팀으로 나뉘었다. 전차 경주의 주요 중심지는 로마의 팔라티노 언덕과 아벤티노 언덕 사이 계곡에 위치한 키르쿠스 막시무스였다.[42] 트랙에는 12대의 전차가 들어갈 수 있었으며, 트랙의 양쪽은 '스피나'라고 불리는 솟아있는 중앙 분리대에 의해 구분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히포드롬에서 열린 전차 경주는 비잔틴 제국 시대에도 고대 올림픽이 폐지된 후에도 인기를 누렸지만, 6세기의 니카의 난 이후 쇠퇴했다.[43] 출발 게이트는 카르케레스라고 불렸다.
네 마리의 말이 나란히 전차를 끄는 고대 로마의 차량 또는 전차는 라틴어 'quadriugi'(네 마리의 팀)에서 유래한 ''콰드리가''라고 불렸다. 이 용어는 때때로 전차 없이 네 마리의 말 또는 전차만을 의미하기도 했다. 세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 또는 세 마리의 팀은 'triugi'(세 마리의 팀)에서 유래한 '트리가'였고, 두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 또는 두 마리의 팀은 'biugi'에서 유래한 '비가'였다.
고대 로마에서는 전차를 사용한 기록이 없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기에서 기원전 1세기 브리튼 섬에서의 전차의 특이한 용법을 기록하고 있다. 다만 전장 이외의 용도로, 고대 로마에서는 전차 경주가 행해졌고, 수도 로마를 비롯한 제국의 각지에 경마장이 만들어졌다. 그 중에서도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12세기까지 전차 경주가 행해졌다. 현재 행해지고 있는 경마는 이 전차 경주의 스타일을 계승한 것이다.
3. 7. 고대 중국
중국에서 전차의 가장 초기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1250년경 상나라 무정왕 통치 시기 허난성 안양 허우강에서 발견된 전차 매장 유적지이다.[45] 갑골문은 상나라의 서쪽 적들이 전투에서 제한적으로 전차를 사용했음을 시사하지만, 상나라는 전차를 이동 지휘 차량과 왕실 사냥에만 사용했다.[45]
상나라 시대에는 왕족 구성원들이 전차, 말, 마부와 함께 완전한 가구와 하인들과 함께 매장되었다. 상나라 전차는 종종 두 마리의 말이 끌었지만, 네 마리의 말이 끄는 변형도 가끔 매장지에서 발견된다.
자크 제르네는 기원전 1046년경 상나라를 정복한 주나라가 상나라보다 전차를 더 많이 사용했으며 "네 마리의 말을 나란히 배치하는 새로운 종류의 마구를 발명했다"고 주장한다.[46] 승무원은 궁수, 마부, 때로는 창이나 극으로 무장한 세 번째 전사로 구성되었다.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5세기까지 중국의 전차 사용은 절정에 달했다. 전차가 더 많이 등장했지만, 보병이 전투에서 전차병을 종종 격파했다.
전국 시대 (기원전 476년–기원전 221년) 이후, 전차를 대규모로 활용한 전쟁은 거의 구식이 되었다. 주요 이유는 쇠뇌 사용 증가, 길이 약 5.49m에 달하는 긴 할버드와 길이 약 6.71m에 달하는 창의 사용, 표준 기병 부대의 채택, 그리고 유목 기병으로부터의 기마 궁술의 채택으로, 이는 더욱 효과적이었다. 전차는 진나라 (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와 한나라 (기원전 206년–서기 220년) 시대 동안 장교의 지휘소 역할을 계속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한-흉노 전쟁 (기원전 133년~서기 89년), 특히 막북 전투 (기원전 119년)에서 흉노 연합에 대항하여 장갑 전차가 사용되었다.
한나라 이전에는 중국 국가와 왕조의 힘이 그들이 보유한 전차의 수로 종종 측정되었다. 천 대의 전차를 가진 나라는 중규모 국가로, 만 대의 전차를 가진 나라는 거대하고 강력한 국가로 평가받았다.[47][48]
3. 8. 고대 인도
찬후다로, 다이마바드, 하라파, 나우샤로 등 인더스 문명의 여러 도시 유적에서 단축 차축, 통바퀴 황소 마차 모형이 발견되었다.[13]
바퀴살 바퀴가 달린 말-마차는 무장한 승객을 태운 채 기원전 2천년기 채석기 시대 암벽화에 묘사되어 있다. 치바르 널라, 차투르 보지 나스 널라, 카토티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14][15] 빈디야 산맥 사암 암각화에도 마차 묘사가 일부 나타난다. 미르자푸르 지구 모르하나 파하르에서는 두 가지 마차 묘사가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비가와 운전사의 머리를, 다른 하나는 6개의 바퀴살을 가진 사두 마차와 큰 마차 상자 안에 서 있는 운전자를 묘사한다. 이 마차는 공격받고 있으며, 방패와 곤봉으로 무장한 인물이 마차 길에 서 있고, 활과 화살로 무장한 다른 인물이 오른쪽 측면을 위협한다. 이는 기원전 초기 갠지스강-야무나강 평원의 신석기 시대 수렵 부족 영토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15] 산치 탑에 새겨진 사실적인 마차는 대략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8년 시나울리에서 청동기 시대 통바퀴 수레가 발견되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말-마차로 해석하며, 말 중심의 인도-아리아인 도착 이전 시기로 추정한다.[15] 발굴 책임자 산자이 만줄은 이 수레가 황토 도자기 문화 (OCP)/구리 호드 문화에 속하며, 후기 하라파 문화와 동시대라고 보았다. 또한 "시나울리 매장 의례는 베다 의례와 밀접하며, 마하바라타 연대는 기원전 1750년경"이라고 언급했다. 아스코 파르폴라는 이 발견물이 황소 마차이며, 인도-아리아인 이주 초기 원시 인도-이란어 사용자와 관련이 있고, "주요 후기 하라파 정착지의 지배 엘리트를 형성했다"고 주장한다.
말-마차, 그 숭배 및 관련 의례는 인도-이란인에 의해 전파되었고, 말과 말-마차는 인도-아리아인에 의해 인도에 도입되었다.[15]
''리그베다''에서 인드라는 전차를 타고 번개로 무장한 강인한 존재로 묘사된다. 리그베다의 신들, 특히 태양신 수리야는 마부 아루나가 모는 외바퀴 전차를 타고 다닌다. 우샤스(새벽)도 전차를 타며, 아그니는 신과 인간 사이의 메신저 역할을 할 때 전차를 이용한다.
자이나교 바가비 수트라는 마가다-바지 전쟁 당시 마가다 아자타샤트루 치하의 인도 군대가 리차비에 대항하는 전쟁에서 곤봉이나 철퇴가 부착된 전차를 사용했다고 언급한다.
4. 스포츠 및 기타 활용
그리스-로마 시대에 걸쳐 전차 경기가 고대 올림픽 등 중요한 축제에서 자주 개최되었다.[49] 고대 로마에서는 전차 경주가 매우 인기 있었으며, 로마를 비롯한 제국 각지에 경마장이 만들어졌다.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12세기까지 전차 경주가 행해졌다. 현재 행해지고 있는 경마는 이 전차 경주의 스타일을 계승한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Chariots in the Eurasian Steppe: a Bayesian approach to the emergence of horse-drawn transport in the early second millennium BC
2020-04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CHARIOT
https://www.merriam-[...]
2023-05-27
[3]
웹사이트
Why Reinvent the Wheel?
https://www.aramcowo[...]
2017
[4]
서적
A Brief History of Motion: From the Wheel, to the Car, to What Comes Nex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5]
웹사이트
Whence the Domestic Horse?
https://www.science.[...]
[6]
간행물
The emergence of Bronze Age chariots in eastern Europe
2006-09-01
[7]
간행물
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horses from the Western Eurasian steppes
2021
[8]
서적
War In World History: Society, Technology, and War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Volume 1
https://books.googl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9]
간행물
The origin of the true chariot
https://doi.org/10.1[...]
1996
[10]
간행물
Chariotry, ancient Near East and Egypt
https://doi.org/10.1[...]
2012
[11]
서적
Lexikon der indogermanischen Verben
Ludwig Reichert
2001
[12]
서적
Atlas of Military History
Parragon
[13]
웹사이트
Toys and Civilization {{!}} Harappa
https://www.harappa.[...]
[14]
서적
Prehistoric Rock Art of India
OUP India
[15]
웹사이트
Chariots in the Chalcolithic Rock Art of India
https://www.harappa.[...]
[16]
웹사이트
Chariots in the Chalcolithic Rock Art of Indian
https://www.harappa.[...]
[17]
웹사이트
Chariots in the Chalcolithic Rock Art of India
https://www.harappa.[...]
[18]
뉴스
Voices from the past: Researcher explores a mystery across 40 centuries
https://www.horsetal[...]
2016
[19]
웹사이트
Rig Veda: Rig-Veda, Book 5: Hymn XXXVI. Indra.
https://www.sacred-t[...]
[20]
간행물
On the Origin of the Scythed Chariots
[21]
서적
The State in Indian Tradition
Brill
[22]
서적
Chasing Chariot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hariot Conference (Cairo 2012)
Sidestone Press
2013
[23]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http://www.asianrevi[...]
I.B. Tauris
[24]
서적
The Origin of the Indo-Iranians
https://books.google[...]
BRILL
[25]
서적
Ebla and its Landscape: Early State Formation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Left Coast Press
[26]
웹사이트
History Alive! The Ancient World: Lesson 5 – Ancient Sumer, Section 8 – Technology
http://subscriptions[...]
History Alive
[27]
웹사이트
Old Kingdom leather fragments reveal how ancient Egyptians built their chariots
http://english.ahram[...]
2013-04-22
[28]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논문
"Egyptian-Canaanite Interaction at Nahal Tillah, Israel (ca. 4500–3000 B.C.E.): An Interim Report on the 1994–1995 Excavations"
1997-08
[30]
뉴스
"Jezreel{{snd}}Where Jezebel Was Thrown to the Dogs"
2010-07
[31]
웹사이트
"Archaeological mystery solved"
http://newmedia-eng.[...]
University of Haifa press release
2010-07-05
[32]
웹사이트
Long time archaeological riddle solved
https://www.jpost.co[...]
2010-07-02
[33]
웹사이트
"World's Oldest Wheel Found in Slovenia"
http://www.ukom.gov.[...]
Government Communication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03-03
[34]
웹사이트
BABESCH Annual Papers on Mediterranean Archaeology
https://www.babesch.[...]
[35]
서적
Structures, or Why Things Don't Fall Down
Pelican
[36]
서적
Dictionary of Phrase & Fable
http://www.bartleby.[...]
Bartleby.com: Great Books Online – Encyclopedia, Dictionary, Thesaurus and hundreds more
2008-03-05
[37]
백과사전
Chariot and wag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8-29
[38]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2003
[39]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De Bello Gallico" and Other Commentaries by Caius Julius Caesar, translated by W. A. MacDevitt (1915).
http://www.gutenberg[...]
[40]
웹사이트
METmuseum.org
http://www.metmuseum[...]
[41]
웹사이트
The Golden Chariot of Achilles
http://www.ancientwo[...]
2008-03-16
[42]
웹사이트
The Charioteer of Delphi: Circus Maximus.
http://www.ancientwo[...]
2008-03-16
[43]
서적
Criminal Behavio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7-04-03
[44]
뉴스
Standard Railway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1-06-03
[45]
간행물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riot Into China
[46]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문서
Mencius · Liang Hui Huang (King the Hui of Liang, Hui is a posthumous name) Volume One
[48]
문서
Zhan Guo Ce·Zhao Ce
[49]
뉴스
古代エジプト人、痛恨のミス 日本の科学がツタンカーメンに挑む|中東解体新書|
https://www3.nhk.or.[...]
NHK
[50]
서적
The Origin of the Indo-Iranians
2007
[51]
서적
Ebla and its Landscape: Early State Formation in the Ancient Near East
2013
[5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